최근 KT 무단결제 사건으로 많은 분들이 불안해하고 계실 텐데요. "나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인가?" 걱정하는 분들을 위해, 피해가 발생했을 때 즉시 대처하는 법과 앞으로 미리 예방하는 방법을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1. 의심스러운 결제를 발견했다면, 이렇게 행동하세요!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침착하게 피해 사실을 확인하고 신속하게 신고하는 것입니다.
- 요금 청구서 꼼꼼히 확인하기: 매달 오는 통신사 요금 청구서를 그냥 지나치지 마세요. 특히 '소액결제'나 '콘텐츠 이용료' 명목으로 모르는 금액이 청구되었는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KT 고객센터에 즉시 문의: 의심스러운 결제 내역을 발견했다면 망설이지 말고 **KT 고객센터(국번 없이 100번)**에 전화하세요. 결제 내역 확인을 요청하고, 본인이 결제하지 않았음을 명확히 밝혀야 합니다. 통신사에서 납부 차단 등의 조치를 취해줄 수 있습니다.
- 가까운 경찰서에 신고하기: 통신사 신고와 더불어 가까운 경찰서 사이버수사팀에 피해 사실을 신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건 접수가 완료되면 '사건사고사실확인원'을 발급받아 통신사에 제출하세요. 이 서류가 있어야 환불 절차가 훨씬 수월하게 진행됩니다.
2. 미리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예방법 3가지
피해를 당한 후에 대처하는 것보다, 애초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미리 준비하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
- 가장 효과적인 방법: 휴대폰 소액결제 한도 '0원'으로 설정하기
- 마이케이티 앱(MyKT)이나 KT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소액결제 한도를 **'0원'**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소액결제 자체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해져 무단결제 피해를 완벽하게 막을 수 있습니다. 소액결제가 필요할 때만 잠시 한도를 높였다가 다시 낮추는 습관을 들이세요.
- 나도 모르는 부가서비스가 있을까? 주기적으로 확인하기
- 결제 내역뿐만 아니라, 통신사 앱에서 내가 가입한 부가서비스 목록도 정기적으로 확인해 보세요. 나도 모르게 가입된 유료 부가서비스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서비스는 과감하게 해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수상한 문자는 바로 삭제하고,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이용하기
- '결제 취소', '환불' 등의 내용으로 URL 링크를 포함한 문자가 온다면 절대 클릭하지 말고 바로 삭제하세요. 또한,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제공하는 **명의도용방지서비스(M-Safer, www.msafer.or.kr)**를 통해 본인 명의로 개통된 통신 서비스가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해 보세요.
이것만은 꼭 기억하세요!
✔️ 매달 청구서 꼼꼼히 확인하기.
✔️ 소액결제 한도를 '0원'으로 설정하거나 최소한으로 낮추기.
✔️ 의심스러운 문자나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않기.
갑작스러운 피해에 당황하기보다,
오늘부터 작은 습관을 바꿔 피해를 미리 예방하는 현명한 소비자가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