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명절 전통놀이의 의미

by astu 2025. 10. 7.

선조들이 즐기던 놀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명절과 놀이, 그 의미

 

명절은 단순히 가족만 모이는 시간이 아니라, 함께 놀고 어울리며 공동체 문화를 이어가던 특별한 날이었습니다. 오늘은 재미있는 퀴즈를 통해 옛 전통놀이를 알아보고, 우리가 놓치고 있던 사실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퀴즈

 

OX 퀴즈 ✨

 

1. 제기차기는 고구려·백제·신라 시절에도 축국(蹴鞠) 또는 비슷한 놀이 형태로 존재했다. (O/X)
👉 정답: O
해설: 삼국시대에도 축국과 같은 제기차기 유사 놀이가 기록에 등장합니다.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지금의 제기차기 형태로 발전했어요.

 

2. 제기차기의 제기는 엽전이나 한지·비단·깃털 등을 이용해서 만들어졌다. (O/X)
👉 정답: O
해설: 옛날에는 돼지 방광, 엽전, 한지, 깃털 등 다양한 재료로 제기를 만들었습니다. 

 

3. 널뛰기는 명절뿐 아니라 정월 초하루 등 새해에도 여성들이 주로 즐기던 놀이였다. (O/X)
👉 정답: O
해설: 널뛰기는 설, 추석뿐 아니라 정월 초하루 같은 명절에도 여성들이 건강과 다산을 기원하며 즐겼습니다.

 

4. 연날리기는 단순한 놀이뿐 아니라 액운을 쫓는 의미도 담겨 있었다. (O/X)
👉 정답: O
해설: 정월 대보름이나 설 무렵 연을 높이 띄워 액운을 날려 보내고, 복을 불러들이는 의식적 의미도 담겨 있었습니다.

객관식 퀴즈 📝

 

문제 1. 제기차기에서 ‘헐렁이’란 무엇을 의미할까요?


① 땅에 발을 딛고 제기를 차는 방식
② 발을 땅에 대지 않고 계속 차는 방식
③ 양발을 번갈아 차는 방식
④ 제기를 손으로 던져서 받는 놀이

 

👉 정답: ② 발을 땅에 대지 않고 계속 차는 방식
해설: 헐렁이는 땅에 발을 대지 않고 계속 제기를 차는 고난도 기술입니다.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들도 실력을 겨루던 방식이었어요.

 

문제 2. 널뛰기에 관련된 옛 기록에 따르면, 널뛰기는 “판도희(板跳戱)” 또는 “축판희(蹴板戱)”라고도 불렸습니다. 이 놀이는 주로 언제 즐겼을까요?


① 추석
② 정월 초하루
③ 단오
④ 설날 전날

 

👉 정답: ② 정월 초하루
해설: 널뛰기는 정월 초하루 새해맞이 행사에서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많이 즐겼습니다.

 

문제 3. 제기 제작에 사용되지 않았던 재료는 무엇일까요?


① 돼지 방광
② 엽전
③ 철제 중량체
④ 플라스틱

 

👉 정답: ④ 플라스틱
해설: 플라스틱은 근대 이후에야 등장했어요. 옛 제기는 돼지 방광, 엽전, 한지, 깃털 등 자연 재료로 만들어졌습니다.

 

문제 4. 옛날 널뛰기에 대해 전해지는 속담이나 풍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널뛰기를 많이 하면 한 해 건강해진다
② 널뛰기를 하지 않으면 아이를 못 낳는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③ 널뛰기를 하면 겨울에 추위를 덜 탄다고 믿었다
④ 널뛰기는 남자들만 즐겼다는 기록이 있다

 

👉 정답: ④ 널뛰기는 남자들만 즐겼다는 기록이 있다
해설: 널뛰기는 주로 여성들이 즐겼고, 남성 전용 놀이라는 기록은 없습니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는 남성도 참여했죠.

 

문제 5. 추석에 대표적으로 여성이 모여 손을 잡고 둥글게 춤을 추던 놀이는 무엇일까요?


① 덕석몰이
② 강강술래
③ 씨름
④ 굴렁쇠 굴리기

 

👉 정답: ② 강강술래
해설: 강강술래는 전라도 해안 지역에서 주로 즐기던 대표적인 추석놀이로, 손을 잡고 둥글게 돌며 노래하고 춤추던 여성 중심의 집단놀이입니다.

마무리 ✨

전통놀이는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건강·풍년·다산을 기원하는 의미공동체의 즐거움이 담겨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