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기침, 원인이 다를 수 있습니다
✅ 감기 기침인 줄 알았는데, 역류성 기침?
기침이 며칠씩 이어지면 대부분 “감기가 오래 가나 보다”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감기약을 며칠 먹었는데도 나아지지 않는다면,
그 기침은 ‘감기’가 아니라 다른 원인일 수 있습니다.
그중 특히 많은 분들이 놓치기 쉬운 것이 바로 **‘역류성 기침’**입니다.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
원인도, 치료법도 전혀 다릅니다.
✅ 감기 기침 vs. 역류성 기침, 어떻게 다를까?
구분 / 감기 기침 / 역류성 기침
🦠 원인 | 바이러스 감염, 호흡기 염증 | 위산 또는 소화액 역류로 인한 인후 자극 |
⏱️ 지속 기간 | 보통 3~10일 (길어도 2주 이내) | 수 주~수 개월 지속되기도 함 |
😷 동반 증상 | 콧물, 발열, 인후통, 가래 | 속쓰림, 목 이물감, 트림, 쉰 목소리 |
🌙 기침이 심해지는 시간 | 주로 밤, 누워 있을 때 | 식후, 누웠을 때, 아침 기상 직후 |
💊 치료 반응 | 감기약(진해제·거담제)에 반응 | 위산 억제제, 식도염 치료제에 반응 |
👃 콧물·코막힘 | 자주 동반 | 거의 없음 |
✅ 이런 증상이 있다면 ‘역류성 기침’을 의심해 보세요
- 식사 후 기침이 심해진다
- 누웠을 때 기침이 심하다
- 목에 뭔가 걸린 느낌(이물감)이 자주 든다
- 트림이나 속 쓰림이 동반된다
- 감기약을 먹어도 기침이 전혀 나아지지 않는다
이런 증상들은 역류성 후두염 또는 **기침형 위식도 역류질환(LPR)**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특히 숨이 차거나 열은 없고, 기침만 계속된다면 **‘기침형 감기’가 아닌 ‘기침형 역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왜 위산이 기침을 유발할까?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면, 산성 성분이 식도와 인후를 자극합니다.
이 자극이 후두, 기관지까지 영향을 주면서 기침을 유발하는 것이 바로 역류성 기침입니다.
특히 밤에 눕는 자세는 위산이 식도 위쪽으로 올라오기 쉬워
기침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감기처럼 보이지만 약을 먹어도 전혀 낫지 않는 기침은 꼭 역류 가능성을 점검해봐야 합니다.
✅ 어떻게 구분하고 대처해야 할까?
✔️ 1. 감기약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병원 재방문
감기라면 보통 1주 이내 증상이 완화됩니다.
하지만 기침만 남아 계속된다면
소화기내과나 이비인후과에서 역류 여부를 검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2. 생활습관 교정이 필수
- 식사 후 바로 눕지 않기 (최소 2시간 후에 눕기)
- 야식·과식 피하기
- 베개 살짝 높이기
- 기름진 음식, 초콜릿, 탄산, 카페인 줄이기
- 체중 감량도 위산 역류 예방에 도움
✔️ 3. 약물치료
역류성 기침은 감기약으로는 나아지지 않으며,
위산 억제제(PPI), 소화기 점막 보호제, 식도 수축력 강화제 등을 처방받아야 합니다.
✅ 마무리
- 감기 기침은 짧고 급성적이며 감기약에 반응합니다.
- 역류성 기침은 은근히 오래 지속되며 감기 증상 없이 기침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감기약을 먹었는데 기침이 1~2주 이상 계속된다면, 원인을 바꿔서 접근해 보세요.
- 단순한 기침도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야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